![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1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newletter june header](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newletter_june_header.png)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2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banner_green_2_1620x950.jpg)
기후위기와 기술혁신, 세대의 변화는 산업과 사회 전반에 전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GS칼텍스는 지속가능항공유(SAF)와 바이오연료 같은 에너지 전환부터, DX 기술 적극 도입과 에너지플러스 홀로 상징되는 디지털 및 조직문화의 전환, 그리고 다문화 인재, 예술, 업사이클링을 통해 사회적 가치의 전환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해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번 뉴스레터를 통해 ‘전환의 시대’를 준비하는 GS칼텍스의 다양한 시도와 성과를 함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한 눈에 보는 뉴스레터
- 📝 Energy Column 글로벌 SAF 전환 가속화…한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 📝 Energy Column IMO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중기조치의 도입과 바이오 연료의 역할
- 📝 Energy Column 글로벌 전력망 통합 가속…’전기 섬’ 한국의 고립 우려
- 📗 GSC Story GS칼텍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장 확대 나선다
- 📗 GSC Story GS칼텍스, 온실가스 감축과 바이오원료 한 번에 잡는다
- 📗 GSC Story 말레이시아 유학생에서 GS칼텍스 책임까지, 시시우퐁의 카이스트 특강
- 🎬 Video 지구를 위한 한 그루, GS칼텍스 밀원수 재배 봉사활동
- 🎬 Video [에너지식백과] 기름값과 정유 산업, 복잡한 구조 이해하기
- 🎬 Video [CONNECT] 협업의 방식을 바꾸는 공간, GS칼텍스 여수공장 에너지플러스 홀
- 📈 Trend 관점의 전환이 만드는 새로운 가치, 업사이클링의 무한 가능성
- 📖 Insight+ 예술이란 무엇인가?
Energy Column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3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SAF Policy Thumbnail](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SAF-Policy_Thumbnail.jpg)
글로벌 SAF 전환 가속화…한국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항공 분야의 탄소중립을 위해 지속가능항공유(SAF)의 도입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한국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주요국들이 SAF 혼합 의무화와 대규모 인센티브로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가운데, 한국은 수요자와 공급자 간 이해관계 조율과 정책 지원 미흡으로 시장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 인센티브와 생산보조금 도입 등 민간 투자를 견인할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한 시점입니다.
Energy Column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4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IMO Thumbnail 1080x600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IMO_Thumbnail-1080x600-1.jpg)
IMO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중기조치의 도입과 바이오 연료의 역할
IMO는 2027년 3월부터 선박 연료의 온실가스 집약도를 단계적으로 규제하는 중기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며, 이에 따라 국제해운업계는 기존 화석연료에서 바이오 혼합유 등 저탄소 연료로의 전환이 불가피해졌습니다. 바이오 혼합유는 현존선에 별도 개조 없이 적용 가능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경제적 이점도 확보할 수 있어, 탈탄소화 과도기 동안 전략적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미 운항 안정성과 환경 효과가 입증된 만큼, 이는 더 이상 실험이 아닌 실행 가능한 해법이며, 정유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Energy Column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5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electric 1080x600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electric-1080x600-1.jpg)
글로벌 전력망 통합 가속…’전기 섬’ 한국의 고립 우려
전 세계 주요국들이 초국가 전력망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수입하며 ‘전기 동맹’에 나서고 있습니다. 싱가포르는 인근 아세안 국가뿐 아니라 호주에서까지 전기를 들여오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2030년까지 회원국 간 전기 수출입 확대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국은 지리적·정치적 제약으로 인해 ‘전기 섬’에 가까운 상황이지만,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의 발전으로 일본과의 전력망 연결 가능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GSC Story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6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kixx_1080x600.jpg)
GS칼텍스,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시장 확대 나선다
GS칼텍스가 LG유플러스 평촌2 데이터센터에 액침냉각유를 공급하며, 차세대 냉각 기술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Kixx Immersion Fluid S 30’은 높은 발열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면서도 친환경성을 갖춘 제품으로, 국내외 주요 기업들과 실증 협력을 확대 중입니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센터를 넘어 전기차 배터리, ESS 등으로 적용 범위도 넓혀갈 계획입니다.
GSC Story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7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pome thumb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pome_thumb-1.jpg)
GS칼텍스, 온실가스 감축과 바이오원료 한 번에 잡는다
GS칼텍스가 인도네시아 팜유 공장에서 발생하는 팜폐수를 증발 농축 방식으로 처리해 메탄 발생을 줄이고, 이를 바이오연료 원료로 재활용하는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GS칼텍스는 기획재정부와 한국수출입은행이 주관하는 ‘2025년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본타당성조사 지원사업’에 선정돼 6개월간 경제성과 감축 효과를 검토할 예정이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경우 본격적인 투자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해당 기술은 기존 방식보다 처리 효율이 높고, 연간 12만tCO₂eq 이상의 감축이 가능해 양국의 NDC 달성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GSC Story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8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my journey in a korean workplace 2 1080x600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my-journey-in-a-korean-workplace-2_1080x600-1.jpg)
말레이시아 유학생에서 GS칼텍스 책임까지, 시시우퐁의 카이스트 특강
말레이시아 유학생에서 글로벌 기업의 책임자로 성장한 시시우퐁의 이야기에는 단지 개인의 커리어를 넘어, 다문화 인재가 한국 사회와 기업에 어떤 가능성을 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GS칼텍스와 KAIST가 함께하는 ‘다문화 우수인재 양성’의 현장을 통해, 변화하는 시대에 필요한 인재상과 기업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을 돌아봅니다.
Video
지구를 위한 한 그루, GS칼텍스 밀원수 재배 봉사활동
GS칼텍스는 제44회 GS칼텍스 매경오픈과 함께한 탄소 저감 걸음 기부 캠페인으로 목표인 5천만 보를 달성해, 산불 피해 지역에 밀원수 묘목을 기부합니다. 밀원수는 벌꿀의 원천이자 탄소 흡수에 효과적인 나무로, 스마트팜에서 재배된 후 복구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임직원과 가족이 함께한 묘목 재배 봉사활동 현장도 함께 공개됩니다.
Video
[에너지식백과] 기름값과 정유 산업, 복잡한 구조 이해하기
Video
[CONNECT] 협업의 방식을 바꾸는 공간, GS칼텍스 여수공장 에너지플러스 홀
GS칼텍스 여수공장의 홍보상황실이 ‘에너지플러스 홀’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회의와 브리핑, 휴식까지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천장 마이크와 곡면형 LED, 상징적인 배럴 오크통 등 브랜드 스토리를 공간 곳곳에 녹여 구성원 간 소통과 몰입을 돕는 새로운 협업의 허브로 거듭났습니다.
Trend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9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DIRTY WHITE TRASH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DIRTY-WHITE-TRASH-1.jpg)
관점의 전환이 만드는 새로운 가치, 업사이클링의 무한 가능성
‘기후 감수성’이라는 개념이 떠오르며, MZ세대를 중심으로 환경을 고려한 소비와 일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제 자원순환은 단순한 ‘환경 보호’를 넘어, 도시의 쓰레기를 예술로, 버려진 공간을 문화로 바꾸는 창의적 전환의 영역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업사이클링은 바로 그 변화의 중심에 있습니다. ‘쓸모’의 기준을 새롭게 정의하는 사람들과 공간, 그리고 아이디어를 함께 들여다봅니다.
Insight+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10 GS칼텍스 에너지 뉴스레터 72. [전환의 시대, 새로운 답을 찾다] | insight 2 1080x600 1](https://gscaltexmediahub.com/wp-content/uploads/2025/07/insight_2_1080x600-1.jpg)
예술이란 무엇인가?
GS칼텍스 INSIGHT+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미국의 실용주의 철학자 존 듀이가 말하는 ‘왜 예술이 우리 삶에 필요한가’에 대해 살펴봅니다. 듀이는 예술이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일상 속에서 감정을 풍부하게 경험하게 해주는 매개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런 관점에서 문화예술에 대한 기업의 기여는 곧 사회 안에서 이해와 공감을 넓혀가는 일일지도 모릅니다. 존 듀이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