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찾아가는 숏터뷰] KAIST 실패연구소장 조성호 교수의 성공을 이끄는 실패의 재발견 2 [찾아가는 숏터뷰] KAIST 실패연구소장 조성호 교수의 성공을 이끄는 실패의 재발견 | 1080 600](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1080_600.png)
[찾아가는 숏터뷰] KAIST 실패연구소장 조성호 교수의 성공을 이끄는 실패의 재발견
2024-12-24
흔히 사람들은 실패를 부정적이고 피해야 할 경험으로 인식합니다. 그러나 뛰어난 성과 뒤에는 수많은 실패가 존재하였으며, 실패는 단순한 좌절이 아니라 성공으로 향하는 필연적 과정이었습니다. 이번 ‘찾아가는 숏터뷰’ 5편에서는 KAIST 실패연구소장 조성호 교수님을 만나, 실패를 성공을 위한 자산으로 활용하고 있는 KAIST 실패연구소의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KAIST 실패연구소는 학생들이 겪은 실패와 이를 극복한 경험을 공유하는 ‘망한 과제 자랑하기 대회’를 개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문화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실패를 통해 얻은 교훈을 축적하고 활용하는 것이 성공을 향한 지름길이 될 수 있죠. KAIST 실패연구소의 성공의 밑거름이 되는 실패에 대한 인사이트를 확인해보세요.
![[에너지칼럼] 국제해운 탈탄소화 주요 전략, 바이오선박유의 규제 동향 4 [에너지칼럼] 국제해운 탈탄소화 주요 전략, 바이오선박유의 규제 동향 | 02 5](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02-5.png)
[에너지칼럼] 국제해운 탈탄소화 주요 전략, 바이오선박유의 규제 동향
2024-12-24
바이오선박유는 바이오연료와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선박유를 혼합하여 선박유 국제품질 기준에 맞게 생산되는 탄소 저감 연료로서 '2023 IMO 온실가스 전략'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현시점에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CES 2025 프리뷰: 양자 컴퓨터에서 에너지 전환까지 6 CES 2025 프리뷰: 양자 컴퓨터에서 에너지 전환까지 | 03 2 1](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03-2-1.png)
CES 2025 프리뷰: 양자 컴퓨터에서 에너지 전환까지
2024-12-24
혁신 기술은 CES로 모인다 1967년 뉴욕에서 처음 시작된 CES는 가전제품을 위주로 전시를 진행했으며, 첫 방문객은 1만 7,000여 명에 불과했습니다. 이후, 시카고, 필라델피아, 올랜도 등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다가, 1998년부터 현재와 같이 […]
![[에너지식백과] 순환 경제의 미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의 모든 것 8 [에너지식백과] 순환 경제의 미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의 모든 것 | 1223 MH](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1223_MH.png)
[에너지식백과] 순환 경제의 미래,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의 모든 것
2024-12-24
일상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은 플라스틱의 재활용 비율은 9% 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플라스틱 재활용은 물리적 재활용 MR(Mechanical Recycling)과 화학적 재활용 CR(Chemical Recycling) 방식이 있으며, 세계 유수 기업들은 효율적으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기 위해 MR/CR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GS칼텍스 역시, MR과 CR기술을 모두 확보해 플라스틱 순환 경제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있습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GS칼텍스의 재활용 혁신! 플라스틱 재활용 기술부터 GS칼텍스의 플라스틱 여정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에너지식백과에서 확인해 보세요! 🤓
![[에너지레포트] 에너지경제연구원, 2024년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 결과 10 [에너지레포트] 에너지경제연구원, 2024년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 결과 | TH 14 1](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TH-14-1.png)
[에너지레포트] 에너지경제연구원, 2024년 G20 에너지전환 장관회의 결과
2024-12-20
2024년 G20 에너지전환 실무그룹 활동 결과 G20 에너지전환실무그룹(Energy Transitions Working Group, ETWG)은 G20 셰르파 트랙 내 주제별 15개 실무그룹 중 하나인데요. 청정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원 사용과 공정하고 접근 가능하며, 포용적인 에너지전환을 […]
![GS칼텍스,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나서 12 GS칼텍스,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나서 | 2](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2.png)
GS칼텍스,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나서
2024-12-20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가 무탄소 에너지원을 도입해 탄소 배출량 감축에 나선다. GS칼텍스는 20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GS칼텍스 전략기획실장 김정수 부사장, 남해화학 김창수 대표이사 사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 공동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체결했다. GS칼텍스의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은 남해화학이 보유한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하여 여기서 생산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에 도입, 기존 사용 중인 LNG원료 스팀을 대체하는 사업이다. 새롭게 생산하는 무탄소 스팀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GS칼텍스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존 LNG원료 스팀을 생산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때 대비, 연간 약 7만tCO2의 탄소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유휴설비의 단순 재가동을 넘어 여수산업단지 내 기업이 상호협력하여 지속가능한 사업 모델을 창출해낸 우수 협업 사례이다. 신규 투자 시설 구축이 완료되는 2027년부터 GS칼텍스의 유황이 남해화학으로 공급되고, 이를 원료로 남해화학의 황산공장에서 생산되는 무탄소 스팀이 GS칼텍스로 공급되는 선순환 사업 구조가 구축된다.
![[에너지레포트] 삼일PwC, 석유화학업계의 미래 먹거리 : 생분해 플라스틱 14 [에너지레포트] 삼일PwC, 석유화학업계의 미래 먹거리 : 생분해 플라스틱 | TH 02](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TH-02.png)
[에너지레포트] 삼일PwC, 석유화학업계의 미래 먹거리 : 생분해 플라스틱
2024-12-19
‘생분해 플라스틱’이 석유 화학 업계의 먹거리로 떠오른 이유는? 보고서에 따르면, 플라스틱 생산량은 2000년 2.3억 톤에서 2019년 4.6억 톤으로 증가했으며, 2060년에는 12.3억 톤으로 60년 간 5.3배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폐기량은 같은 […]
![GS칼텍스, KAIST와 다문화 우수인재를 함께 키운다 16 GS칼텍스, KAIST와 다문화 우수인재를 함께 키운다 | 1219](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1219.jpg)
GS칼텍스, KAIST와 다문화 우수인재를 함께 키운다
2024-12-19
GS칼텍스(대표이사 허세홍 사장)는 19일 서울 강남구 GS타워에서 KAIST와 다문화 우수인재 양성 협약을 체결하고 다문화 인재 후원 사업을 함께한다. 다문화 사회에 대한 관심과 사회적 가치 확산에 뜻을 모아 GS칼텍스는 2024년부터 4년간 […]
![GS칼텍스, 난방유 봉사활동으로 따뜻한 에너지 나눔 실천 18 GS칼텍스, 난방유 봉사활동으로 따뜻한 에너지 나눔 실천 | 1218](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1218.png)
GS칼텍스, 난방유 봉사활동으로 따뜻한 에너지 나눔 실천
2024-12-18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가 연말을 맞아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난방유 나눔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지난 17일 GS칼텍스 임직원들이 서울 강남구 구룡마을을 찾아 독거노인 및 이동이 어려운 가정에 직접 난방유를 배달하며 추위로 어려움을 […]
![[에너지레포트] 한국석유공사, 중동 정세 2024년 회고와 2025년 전망 20 [에너지레포트] 한국석유공사, 중동 정세 2024년 회고와 2025년 전망 | TH 02](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4/12/TH_02.png)
[에너지레포트] 한국석유공사, 중동 정세 2024년 회고와 2025년 전망
2024-12-11
2024년 중동에서는 1년 넘게 이어지는 가자지구 내 이스라엘·하마스 전쟁과 이를 둘러싸고 격렬하게 대결하는 이스라엘·이란·이란 프록시 간의 끊임없는 무력 충돌로 혼돈과 불확실성이 압도적으로 지배했다. 하지만 이러한 혼란과 ‘중동 전면전’ 위기는 수니파 아랍 국가들이 시아파 이란의 군사 팽창주의를 공통의 위협으로 인식하고 미국·이스라엘·미 중부사령부의 파트너와 함께 연대하면서 확전으로 이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