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버려진 공간에 자연을 더해 공간의 가치를 바꾸다. 서울 ‘업사이클링’ 공원
2022-04-15
용도를 잃은 인공 조형물이 자연을 만나 생기를 되찾았습니다. 오늘은 버려진 공간에서 ‘업사이클링’을 통해 공간의 가치와 생명력을 찾은 공원 세 곳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바로 서울에 위치한 선유도공원, 경의선 숲길, 난지도 하늘공원과 노을 공원입니다.

이란 원유의 세계시장 복귀,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2022-04-14
세계 최대 산유국이지만 서방 세계의 경제 제재에 묶여 막대한 석유 공급 능력을 제한받고 있는 이란의 시장 복귀가 유력해 보인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핵 협정 JCPOA에서 탈퇴한 이후 석유 금수를 포함한 다양한 경제 제재에 묶여 있는 이란을 국제무대에 복귀시키기 위한 협상이 재개됐고 막바지 조율 중이라는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이란이 원유 생산과 수출을 본격화하면 국제유가가 많게는 배럴당 15불까지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제시되고 있어 극심한 인플레이션에 고통받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 에너지 소비국들은 협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란 핵 협정 협상과 관련한 경과와 원유 수출 재개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본다.

국제 금융 및 석유 회사의 ESG 추진 동향 및 시사점
2022-04-07
기업의 지속 가능경영을 나타내는 척도인 ESG, 국제 금융 및 석유 회사의 ESG 추진 동향 및 시사점을 소개합니다.

GS칼텍스 2022년 3월 매거진, 지속가능한 세상에서 함께 살아가기
2022-04-06
2021년 11월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알록 샤마(Alok Sharma) 의장은 앞으로 환경 문제가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는 "마지막이자 최선(Last and Best)의 기회"라고 강조했습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마스크부터 택배 상자, 배달음식 용기 등 의도치 않게, 혹은 무관심하게 버려지는 일회용품들이 많습니다. 미국 해양보호협회(SEA)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인의 1년 플라스틱 쓰레기 배출량은 1인당 88kg으로 미국, 영국에 이어 세계 3위입니다. 계속되는 환경과 코로나 바이러스의 위협 속에서 우리의 마지막이자 최선을 위한 혁신의 기회는 무엇일지 생각해 볼 때입니다.
![[에너지식백과] 어느 나라에 석유가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을까? 10 [에너지식백과] 어느 나라에 석유가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을까? | 20220330 01 00 F](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2/03/20220330_01_00_F.jpg)
[에너지식백과] 어느 나라에 석유가 가장 많이 매장되어 있을까?
2022-03-30
현대에 이르러 석유가 에너지 자원으로 널리 쓰이는 것은 물론, 석유에서 뽑아낸 물질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석유의 경제적 가치가 크게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풍부한 석유 생산량을 바탕으로 어마어마한 부를 쌓은 나라들도 생겨났는데요. 그렇다면 세계에서 가장 석유가 많이 묻혀 있는 나라는 어디일까요? GS칼텍스와 함께 Let’s find out!

GS칼텍스 2022년 3월 뉴스브리핑
2022-03-30
GS칼텍스 여수공장, '2022년 TA 사고예방 실천 서약 캠페인' 진행 / GS칼텍스 퇴직사우회, 산불피해성금 전달 / 예울마루, 장도 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 선정

더블 그린플레이션을 대비한 에너지·자원 안보
2022-03-29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에너지 공급 부족이 현실화 되어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천정 부지로 뛰고 있다. 경제위기의 불안함 속에서 여러 문제와 고민이 생길 수밖에 없는데, 여러 제약 조건 속 새로운 개념의 에너지∙자원 안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아동심리정서 예술치유사업 Un-Contact에서 On-Contact로, 코로나19를 극복한 온라인 마음톡톡
2022-03-29
GS칼텍스는 2020년 3월, 남들보다 앞서 온라인 실시간 화상 플랫폼을 통해 비대면 예술집단치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마음톡톡’ 프로그램을 온라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아이들의 심리와 정서에 도움을 주고자 했던 ‘온라인 마음톡톡’은 그해 5월부터 멈춰진 Un-Contact의 세상을 On-Contact의 세상으로 바꿔주었습니다.

NFT, 가상 세계에서 소유를 만들다
2022-03-25
2021년 3월, 1766년 창설된 영국의 예술작품 경매 크리스티가 개최한 뉴욕의 한 경매에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할 소식이 전해졌다. 디지털 아티스트로 알려진 비플(Beeple)의 작품 〈나날들: 첫 5000일 Everydays: The first 5000 days〉이 6930만 달러, 한화로 약 830억 원에 낙찰됐다. 실제로 만질 수도 없는 디지털 그림 파일 하나가 말이다. 정확히 말하면 이 작품의 ‘NFT(Non Fungible Token)’가 830억에 팔린 것이다. NFT란 도대체 무엇일까?

나 혼자 산다? 환경 지키면서 지구와 함께 산다!
2022-03-22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외출보다 집에 머무는 게 더 익숙해진 분들 많으시죠? 실제로 재택근무와 원격 수업을 도입하는 곳이 늘어남에 따라, 일상의 대부분을 집에서 보내는 사람들이 급증했어요. 이러한 새로운 생활 방식이 자리 잡게 되며 함께 급증한 것이 있는데요. 바로 ‘플라스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