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GS칼텍스, 윤활유에 원료부터 제품 용기까지 친환경 가치 담다
2022-02-16
GS칼텍스(대표 허세홍 사장)는 16일 국내 윤활유 브랜드 최초로 원료부터 제품 용기까지 친환경 가치가 담긴 친환경 엔진오일 ‘Kixx BIO1(킥스 바이오원)’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Kixx BIO1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성능은 극대화한 친환경 고성능 합성 엔진오일이다. 이 제품은 바이오 연료 개발 업체인 미국 노비사(Novvi社)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야자, 코코넛, 콩, 유채씨 등 100% 재생가능한 식물 원료로 만든 윤활기유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윤활기유는 엔진오일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원료다.

e-퓨얼로 내연기관의 에너지·환경·안보 다 잡는다!
2022-02-16
유럽 등 일부 선진국들과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2030년대 이후 내연기관차 생산 판매 중단이나 금지를 선언하고 있어 전기차로 대표되는 그린카 확대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머지 않아 정유사나 주유소 같은 화석연료 생산, 판매 사업장이나 내연기관 자동차는 사라지게 생겼다. 그런데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는 크다. 수송에너지 전환도 마찬가지이다. 전기나 수소에너지가 청정한지에 대한 논란은 차치하더라도 화석연료와 내연기관차의 쓰임새가 일부 환경 선진국들의 기대만큼 빠르게 폐기되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재생에너지 확대 보급에 기인한 ‘그린플레이션(greenflation)’이 현실화되고 있고 자원 안보 위협이 커지는 등 예상하지 못했던 다양한 돌출 변수들이 등장하고 있다. 때문에 한편에서는 내연기관차에 적용되는 탄소중립 연료를 개발, 소비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고 ‘e-퓨얼(e-fuel)’이 그 중심에서 논의되고 있다.

GS칼텍스 2022년 1월 매거진, 일상을 넘어 혁신으로
2022-01-28
이달 사보에서는 Deep Transformation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볼 수 있는 코너와 세계 최대 IT쇼인 CES2022의 인사이트를 담은 전문가칼럼, 회사에 새 활력소가 되어 줄 2022년 신입사원들의 이야기 외에도 다양한 회사와 임직원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다. 함께 만나보시죠!

2022년도 GS칼텍스 신입사원들을 소개합니다!
2022-01-28
2022년 GS칼텍스 신입사원들이 직접 전하는 알찬 자기소개와 입사포부만으로도 풍성한 이야기가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만나보세요!
![GS칼텍스 뉴스레터 33. [1분기의 향방이 올 한해를 좌우한다!] 10 GS칼텍스 뉴스레터 33](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3/03/20220128_03_00_F.jpg)
GS칼텍스 뉴스레터 33. [1분기의 향방이 올 한해를 좌우한다!]
2022-01-28
여전한 재고 부족과 북극 한파로 2022년 유가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국을 비롯한 주요 산유국들의 증산 기조와 이란 핵 협상 도출 등에 따라 수급 불균형이 해소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1분기의 유가 향방이 2022년 전반적인 수급 균형 및 가격 형성을 좌우할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어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2022년 유가와 석유화학산업의 주요 이슈와 전망을 살펴봅니다.

GS칼텍스 2022년 1월 뉴스브리핑
2022-01-27
2022년 새해 첫 현장경영 / 2022년 신임팀장과정 / 글로벌 공급망 ESG 평가(Ecovadis)에서 Gold Medal 획득

폐플라스틱 문제와 순환경제 구축
2022-01-26
플라스틱의 순환을 위해서는 전과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즉, 생산-유통-소비-수거 및 재활용-재생원료 사용 등으로 순환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지금처럼 대량 생산-대량 소비-대량 폐기 등의 선형경제(linear economy)는 지속가능하지 않고,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 전환하여 플라스틱의 생산되어 소비된 후 다시 순환하는 고리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지요.

메타버스 제페토 미래형 주유소 ‘Energy Plus Hub’ 월드
2022-01-26
제페토에 GS칼텍스의 미래형 주유소 ‘Energy Plus Hub’ 월드가 등장한 이후, 최근 인기 크리에이터 월드에 등극에 이르기까지 그 변화의 모습을 함께 확인해보시죠.

‘비욘드X’ 가속화…융합·확장으로 경쟁력 키워야
2022-01-26
세계 최대 IT 가전쇼 CES 2022에선 일상을 넘어(Beyond the everyday)라는 행사 주제로 팬데믹의 위험 속에서 대면 전시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CES 2022를 기술 트렌드가 우리에게 주는 메시지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환경규제의 압박, 그리고 글로벌 에너지 업계의 대응
2022-01-21
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과 이에 따른 환경규제의 강화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특히 ‘탄소’ 배출 관련 규제들은 에너지 시장을 넘어, 전 경제주체들의 생활에 심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환경규제와 에너지 시장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고조된 계기 중 하나는, 새로운 기후 체제의 출범이었다. 2020년을 기점으로 기존 국제사회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근거였던 교토의정서가 만료되었다. 그리고 2021년부터 파리협정이 이를 대체하고 있다. 과거 동조 현상을 보여왔던, 친환경/신재생 에너지 기업들의 기업가치가 유가와 뚜렷한 차별화를 보이기 시작한 시점이 2020년이고 다수의 국가가 탄소중립을 선언한 시기도 2019~2020년이라는 점은 결코 우연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