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보기

우주 쓰레기를 처리해주는 로켓의 돛, 드래그세일(drag sail)
2022-01-20
매년 세계 곳곳에서 최소 88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1분마다 덤프트럭 1대가 실을 수 있는 양의 쓰레기가 바다로 버려진다고 생각하시면 더욱 와닿으실 거예요. 안타깝게도 이 내용은 무려 7년전인 2015년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요. 이러한 추세로 간다면, 머지않은 2030년에는 우리가 막연히 버리는 쓰레기가 연간 5,300만 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더 미래에는 육지, 바다를 넘어서 저 멀리 우주까지 덮어버리는 건 아닐지 걱정이 됩니다. 그런데 실제로 이미 우주에도 많은 쓰레기가 둥둥 떠다니고 있다고 해요. 오늘은 우주 쓰레기와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드래그세일(drag sail)’에 대해 알아볼게요.
![[환경상식] 바다의 수호신, 기후위기를 막는 고래의 비밀 4 바다의 수호신, 기후위기를 막는 고래의 비밀](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3/03/20220117_01_00_F.jpg)
[환경상식] 바다의 수호신, 기후위기를 막는 고래의 비밀
2022-01-17
지구는 모든 생물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조화롭게 상생하는 것을 기반으로 꾸려진 생태계입니다. 북극 빙벽의 찬물과 적도의 따뜻한 수온이 교류하면서 해양의 대순환과 함께 생태계의 균형, 공전이 원활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이죠. 그러나 날이 갈수록 북극의 빙벽 붕괴가 가속화될 뿐만 아니라 해수면 상승 등 기후위기가 심각해지고, 지구가 깨끗했던 시절을 그리워하며 ’그땐 그랬지’라는 말이 오가는 상황이 되어 버렸습니다. 심지어 ‘바다거북’, ‘북극곰’, ‘고래’ 이외에도 수많은 동물의 멸종위기 소식까지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기후와 생태계 문제는 서로 깊은 연관이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2022년 석유화학산업 주요 이슈 및 전망
2022-01-14
2021년의 핵심 키워드 중 하나는 위드 코로나가 아닐까 싶다. 위드 코로나라는 용어가 일상 속으로 들어오면서 국내외 수요의 증가가 경기 활성화를 이끌었다. 한국뿐만 아니라 주요국들의 봉쇄 조치 해제 등은 실물경기를 회복시켜 국내 수출을 증대시키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 백신 보급률 역시 경기 안정화에 큰 기여를 했는데 2021년 12월을 기준으로 한국의 코로나 백신 접종 완료 인구 비율이 80%를 넘어섰다. 주요국들 역시 백신 보급을 확대하면서 민간 부문의 고용 회복과 인프라 투자 등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신종 변이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의 등장과 미국 연준의 통화긴축 전환, 추가 재정정책의 한계 등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경제 성장에 제한을 두고 있다. 2021년의 국제유가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와 미·중 무역 갈등 속에 산유국들의 생산량 유지에 따른 원유 수급 불균형 지속 우려 등으로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80달러를 상회하는 등 예상외의 강세가 지속되었다. 상반기 글로벌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원유 수요가 급격히 증가한 가운데, 주요 산유국의 증산 합의와 높은 이행률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되었다. 하반기에도 달러화 강세, 미·중 갈등에 따른 수요 둔화 등의 하방 압력 요인에도 불구하고 원유 수요 증가와 OPEC+ 국가의 기존 증산 계획 유지 결정에 따른 원유 공급 부족 등으로 유가는 급격하게 상승하였다. 유가의 상승과 경제적 불확실성이라는 글로벌 경제 동향에 근거하여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지난 1년을 뒤돌아보고 다음의 1년이 어떻게 전망되는 지를 이 글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크게 수출, 수입, 내수, 생산의 네 부문으로 나누어 국내외 여건을 살펴보고, 각각의 2022년 성장률을 전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이슈에 따른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과제와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면서 글을 마무리한다.

나에게 맞는 자동차 추천! 전기차부터 수소차까지
2022-01-12
‘전기차 배터리 기술 개발’, ‘새로운 전기차 출시’ 등 전기차에 대한 수많은 소식이 하루하루 늘어가고 있습니다. 그만큼 전기차와 수소차 등이 내연기관차와 마찬가지로 보편화 되고 있다는 말인데요. 이러한 추세로 ‘가격이 비싸다’ 혹은 ‘충전, 관리가 불편할 것이다’는 등의 인식이 점차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어요. 불과 몇 년 전까지 전기차, 수소차가 아무리 대중화 된다 한들 내연기관차를 대체할 수 없으리라 생각했는데 말이죠! 이제부터는 자동차에 나를 맞추는 것이 아닌, 나에게 잘 맞는 자동차를 선택하는 똑똑한 자동차 생활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그럼 지금부터 나에게 맞는 자동차를 GS칼텍스가 추천해 드릴게요.

연속 셧아웃 승리로 기분 좋게 시작하는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 V-리그 3라운드 하이라이트!
2022-01-07
어느덧 3라운드 경기로 전반부를 마무리하며, 도드람 2020-2021 V-리그의 후반부를 향해 달려가고 있습니다.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은 2라운드 마지막 두 경기, 3:0 셧아웃 승리를 이어받아 기분 좋게 4연속 셧아웃 승리를 이끌며, 3라운드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비록 3라운드에서 순위를 한 단계 내어주었으나,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은 아주 치열하고 끈기 있는 경기를 보여줬어요. 매 경기 팽팽한 접전을 보여 준 GS칼텍스서울Kixx배구단의 3라운드 하이라이트를 살펴보았습니다.

2022년 유가 전망
2022-01-07
석유수출국기구 OPEC(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은 세계 최대 원유 생산국들이 모인 석유 카르텔이다. 국제에너지기구 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는 중동 중심 산유국 카르텔에 대응하기 위해 주요 석유 소비국들이 모여 결정한 국제단체로 우리나라도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는 세계 최대 석유 소비국이자 산유국인 미국의 에너지 관련 정책을 선도하는 정부 기관이다. 석유 에너지와 관련한 세계 3대 기구는 주기적으로 석유 시장 분석 리포트를 생산하고 있는데 가장 최근 제시한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석유 공급 확대, 팬데믹 이전의 석유 수요 회복’을 공통으로 예측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책 연구기관인 에너지경제연구원도 신년 유가 전망을 제시했다. 임인년 세계 석유 시장의 관전 포인트와 주요 기관들의 유가 전망을 정리해본다.
![[에너지식백과] 석유는 언제 처음으로 사용되었을까? 14 [에너지식백과] 석유는 언제 처음으로 사용되었을까? | 20220106 01 00 F](http://3.39.152.22/wp-content/uploads/2022/01/20220106_01_00_F.jpg)
[에너지식백과] 석유는 언제 처음으로 사용되었을까?
2022-01-06
현대 사회에서 너무나 많은 곳에 쓰이고 있는 석유 현재로서는 석유 없이 살아간다는 것을 상상하기 힘들 정도로 우리의 일상에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존재인데요. 인류는 언제부터 석유를 이용하기 시작했을까요? 또 어떤 계기로 어디에 묻혀 있을지도 모르는 석유를 찾아 수많은 땅굴을 파게 된 걸까요? 검고 끈적이는 기름을 가공해 다양한 제품을 만들 생각은 또 어떻게 하게 된 것일까요? GS칼텍스와 함께 알아볼까요?

GS칼텍스 2022 디지털 시즌 그리팅
2022-01-05
어느새 임인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여러분을 위해 GS칼텍스에서 호랑이의 기운을 얻어 새롭게 준비한 선물이 있어요. 바로 디지털 시그 입니다! 디지털 시그는 시즌 그리팅의 줄임말로 각종 굿즈 세트 모음을 말합니다. 지난번 ‘GS칼텍스 랜선 디지털 굿즈 선물세트’가 성황리에 마무리되어 이번에 2탄을 준비했어요! 펭군과 귀여운 반려동물 소금이와 흑당이가 함께한 GS칼텍스X소금툰 2022 디지털 시즌 그리팅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GS칼텍스 2021년 12월 매거진,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 (New beginning not the end)
2021-12-30
끝은 새로운 시작의 서막이라고 합니다. 해마다 아쉬움이 남는 마무리와 함께 새로운 시작의 설렘이 반복되죠. 이달 사보에는 2022년 소비 트렌드를 전망한 전문가칼럼, 2021년 사보와 함께한 임직원들의 이야기를 다시 볼 수 있는 코너들이 준비되었습니다. 2021년의 마지막 사보를 함께 만나보시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