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석연료 기반 수소에 ‘청정(淸淨)’ 옷 입혀 인증, 어떻게?

화석연료 기반 수소에 ‘청정(淸淨)’ 옷 입혀 인증, 어떻게?

2021-08-19

산소와 결합해 전기를 생산하고 물을 배출하는 수소의 청정성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활용 범위도 수송용을 비롯해 가정, 상업,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이 청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화석연료인 메탄(CH₄)이 원료가 되는 추출 수소나 석유화학·철강 생산 공정에서 부수적으로 얻어지는 부생 수소는 온실가스 배출에 기여하게 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수소를 소비하려 하는데 정작 수소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넌센스가 연출되는 셈인데 세계 주요 국가들이 청정 수소 생산에 몰두하는 이유이다. 이와 관련해 EU나 중국, 일본 등은 청정수소 인증제 도입을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도 청정 수소 도입과 사용을 의무화하기 위한 입법이 모색 중인데 어떤 방식이 유력한지 알아본다.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는 한국에 어떤 의미인가?(상)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는 한국에 어떤 의미인가?(상)

2021-06-28

‘기후변화’와‘재생에너지’라는 단어는 오랫동안 하나의 담론으로만 존재해왔다. 꾸준히 문제 제기가 이루어졌지만, 국제적 규제와 제도의 영역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토론의 주제나 환경단체의 구호에 그쳤던 것이다. 그러나 2020년을 기점으로 상황은 급격히 변하고 있다. 2019년 12월 유럽연합은 세계 최초로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핵심으로 하는‘유럽그린딜’을 발표했다. 이듬해인 2020년에는 아시아 국가들의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졌다. 중국은 9월에 206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선언했고, 한국과 일본은 10월에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아울러 거대 석유 기업들의 탄소중립 선언이 이어졌다. 세계 정치와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미국도 올해 새 정부가 들어서면 파리기후협약 복귀와 함께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의 CO2 저장용량과 국외사업 잠재성 고찰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의 CO2 저장용량과 국외사업 잠재성 고찰

2021-05-24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한 탄소포집 기술 CCS! 한국의 기술개발 현황과 저장소 발굴 성과 및 확보 전략을 제시합니다.

클리마투스 컬리지 지식인팀

우리의 식생활이 온실가스에 영향을 준다? – 지식(食)인팀

2021-01-12

GS칼텍스와 기후변화센터가 함께하는 클리마투스 컬리지 프로젝트! 오늘은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추구하는 사람들', 지식(食)인팀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식품도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는 것을 알리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제시했던 지식인팀, 프로젝트는 끝났지만 인스타그램 @gsik.in.20에서 이들의 활동을 쭉 만나볼 수 있으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육식을 줄이면 기후위기 극복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 magazine meat and climate change thumb 1

육식을 줄이면 기후위기 극복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

2020-11-30

온실가스 배출량의 30%가 음식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육식을 줄이면 기후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까요?

[지구를 위한 탄소 다이어트] 일상 속 에너지 절약 방법

일상 속 에너지 절약 방법

2020-08-18

우리나라 가구 수는 2천만 가구가 넘는데요. 가구당 한 달 에너지사용량을 1kW만 줄여도 월 9,300톤의 CO2를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의 에너지 절약 습관만으로도 지구를 되살린다면? 일상 속 에너지 절약 방법, 지금부터 알아봅시다.

차세대 에너지원 이야기 1 – 바이오매스란 무엇인가?

차세대 에너지원 이야기 1 – 바이오매스란 무엇인가?

2012-10-08

차세대 에너지원 이야기 1 – 바이오매스란 무엇인가?

온실가스 가스 감축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 greenhouse gas inventories 공장굴뚝

온실가스 가스 감축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2012-06-21

기후변화를 일으켜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온실가스. 과연 우리가 배출하고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얼마이고, 얼마만큼 줄여야 하는 걸까요?

기후변화의 범인 – 온실가스 그는 누구인가? | 0347

기후변화의 범인 – 온실가스 그는 누구인가?

2012-04-30

산업화가 급속으로 진행되며 온실가스의 양 역시 급증했습니다. 온실가스란 무엇인지 정의를 알아보고, 6대 온실가스를 알아봅시다.

GS칼텍스 뉴스레터 구독신청

에너지 산업 이슈, 석유 관련 기초 지식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보내드립니다!